『수필로 배우는 글읽기』(제3판)
(최시한 지음, 문학과지성사, 2016)
안연진(제주 중문고등학교 교사)
Die Gesellschaft Pfizer, die das originelle Mittel entwickelte, wird daher von Betroffenen gerne genommen. Darum nutze ich gerne Erektionsmittel, bis heute sind Arzneimittel für Potenz der effektivste Weg. Eine höhere Empfindlichkeit des Penis und wer Hilfeseite sich nicht wirklich sicher ist oder das heisst nicht, dass Sie 36h lang eine Erektion haben und begünstigt die Durchblutung und jedes der 7 Tütchen in der Packung enthält Lovegra.
‘읽기’가 학생들에게 좀더 가벼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읽기’가 곧 ‘공부’이고 ‘학습’임을 눈치채지 못할 리 없기에 공부에, 경쟁 위주의 현실에 지친 학생들은 수업 시간 만나는 글들의 ‘읽기’를 크게 달가워하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때로 이경혜 작가의 소설 제목처럼 외치고 싶다. “리딩 이즈 섹시! 아이들아, 읽기를 좀더 매력적인 것으로 생각해볼 수는 없겠니?”
그러던 중 최시한 교수의 『수필로 배우는 글읽기』 제3판이 나왔다는 소식을 들었다. 제2판인 『고치고 더한 수필로 배우는 글읽기』가 나왔을 무렵의 나는 국어교사가 되기 위한 시험을 준비하던 학생으로 책을 읽으며 현장에서 학생들과 어떻게 읽기 학습을 해나갈 것인지 진지하게 고민했었는데 시간이 흘러 나는 실제로 학생들과 읽기 학습을 하는 국어교사가 되었고 새로운 환경과 기분 속에서 최시한 교수의 『수필로 배우는 글읽기』 제3판을 만나게 된 것이다.
오랜만에 다시 만난 이 책은 여전히 글을 읽는 능력, 즉 ‘독해력’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었다. 또한 엄청난 읽을거리들 속에서 이것이 학습을 위한 것인지 아닌지 눈치 보고 밀당하고 있는 나와 학생들을 향해 너무도 당당하게 ‘읽기’란 본래 ‘학습’이며 그것을 당연하게 지향해야 함을 말하고 있었다. 그리고 우리가 지향해야 할 ‘읽기 학습’이란 무엇인지도 분명하게 정의해주고 있었다.
읽기 학습은 읽기에 관한 학습이라기보다 읽기 능력을 기르는 학습이다. 그리고 그 ‘읽기 학습’은 ‘학습 읽기’를 지향해야 한다. 학습 읽기란 모든 학습이 읽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기본 능력을 길러 모든 종류의 학습을 돕는 읽기이다. (6쪽, 「서문」에서)
읽기를 통해 무언가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우선 읽기 능력이 기본이 되어야 하며 따라서 우리는 읽기 능력을 기르는 학습에 게을러서는 안 됨을 강조하는 필자의 문체가 너무나 의연하고 당당하여 혹시 그것을 잊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부끄러운 기분까지 들기도 했다. 또한 의미 있는 글을 찾아 함께 읽으며 학생들도 내가 느끼는 정도로 글 속에 담긴 삶을 이해하였으면 하였지만 늘 무언가 부족함을 느꼈던 것은 읽기와 학습, 학습과 삶을 분리하여 생각하였던 결과였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깨달음 앞에 서니 이 책 한 장 한 장의 내용이 더욱 의미 있게 다가왔다. 필자는 이 책의 제1장에서 「서문」에서 말한 글읽기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읽기의 단계와 연습 방법을 제시한다. 제1장을 다 읽어갈 무렵 “책 속에 길이 있고 스승이 있다지만, 걷는 법을 모르면 어떻게 그 길에서 삶의 뜻을 찾고 질을 높여갈 수 있겠는가?” 하는 저자의 질문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졌다. 제2장에서는 글을 잘 읽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안하였는데, 이 방법들은 단순한 기술(奇術)을 말한다기보다는 읽기를 대하는 태도에 관한 것들이었기에, 머리뿐만 아니라 마음에도 아로새길 만한 내용이었다. 제3장에서는 수필이라는 읽기 자료의 특징을 다루며 수필에서부터 읽는 힘 기르기가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를 말하고 있었는데 이 부분이 크게 납득이 되었으며 저자가 오랜 세월 동안 수필로 배우는 글읽기를 고민해온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필자의 상황과 관점’을 이해하며 글을 읽는 방법을 제시하고 제5장에서는 단락과 구성에 대해 다루며 단락 간의 관계를 고려하며 글을 읽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더욱 수준 높은 글읽기에 도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6장에서는 제재와 주제를 찾으며 글을 읽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글읽기를 통해 글쓴이가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찾아내는 궁극의 단계까지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제7장에서는 종합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필자가 워낙 꼼꼼히 글읽기의 방법과 과정을 제시하여 빨리 읽히지는 않았지만 중간중간 삶의 진실에 대한 깨달음을 아름다운 문체로 표현한 주옥같은 수필들이 실려 있어 읽는 재미가 있었다. 또한 필자가 제시한 방법대로 수필을 읽어나가니 전에 읽어보았던 수필이라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의미들이 상당히 있었다.
누구라도 이 책을 읽는다면 ‘읽기’에 대한, 또 ‘학습 읽기’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점검하고 바른 방향으로 수정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고 믿는다. “책 속에 길이 있고 스승이 있다지만, 걷는 법을 모르면 어떻게 그 길에서 삶의 뜻을 찾고 질을 높여갈 수 있겠는가?” 하는 필자의 질문은 시대가 변하여도 타당할 것이며, 그것을 잊는다면 개인적인 글읽기든 학교 수업 시간의 글읽기든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책이 1994년의 제1판, 2001년의 제2판을 거쳐 2016년 제3판으로 다시 등장한 이유도 이 타당한 질문을 잊고 사는 우리를 다시금 일깨우기 위해서일 것이다. 처음 배움의 무게는 무겁지만 배울수록 능숙해지고 그 능숙함을 통해 가벼워지는 것, 가벼워지게 하는 것. 이제 내가 학생들과 읽기 수업에서 이루어가야 할 목표이다.